■ 건강/수면과 정신건강(151)
-
외로움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나요?
외로움은 신체적 질병만큼이나 우리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바쁜 평일이 지나고 혼자 집에 남겨진 하루나 혼자 가족들이 멀리 떨어진 외진 곳에 정착했을 때 우리는 외로움을 더욱 심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외로움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우리는 외로움을 어떻게 잘 관리하는지가 인생에서 중요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들은 외로움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의합니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외로움은 우리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 모두 동의할 것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외로움은 우리 건강의 면역체계 기능이나 수면의 질, 심장 질환의 위험에 처할 수 있게 만든다고 합니다. 실제로 작년의 한 연구에서는 외로움이 다른 건강 요인에 비해 사망 위험을 크..
2020.06.19 -
외로움은 오히려 나이가 들면서 감소한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외로움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적으로 감소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젊은 사람들이 노인보다 더 외로움을 느끼고 집단주의보다는 개인주의 사회에서 외로움을 더 느끼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 외로움을 느낀다고 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지되고 개인주의가 점점 더 심해지는 사회에서는 자연스럽게 외로움도 더 커지기 마련입니다. 외로움이 심해질 경우 우울증이 생길 수 있으며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들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외로움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외로움 최근 몇 년 동안 외로움은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영향을 크게 미친다는 증거들이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외로움은 경제는 물론 복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여기..
2020.06.15 -
자연적으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5가지 방법
누구나 나이가 들면서 기억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랜만에 만난 친구의 이름이 기억이 나질 않거나 더 나이가 들게 되면 짧아진 기억력은 치매의 징후가 되기도 합니다. 여기에 대해 캘리포니아 대학 기억 및 노화 신경 심리학 프로그램 책임자인 Joel Kramer가 자연적으로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1. 인터넷 검색 전에 기억을 해보자. 인터넷 검색은 사람들의 기억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정보를 잊어버렸을 때 컴퓨터를 통해서 검색을 하면 금방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게 가능합니다. 실제로 한 인터넷 보안회사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 중 절반이 연락처 목록을 사용하지 않고는 자녀나 사무실에 전화를 걸 수 조차 없는 상황이라고 합..
2020.06.09 -
충분한 수면이 건강에 중요한 7가지 이유
충분한 수면은 운동이나 건강 식단만큼이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바쁜 사회생활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훨씬 적은 수면을 취하고 있으며 수면의 질 또한 점점 더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분한 수면이 건강에 중요한 7가지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체중 증가 부족한 수면은 체중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광범위한 연구에 따르면 수면시간이 짧은 어린이와 성인의 비만 발생률이 89%, 55% 더 높았다고 합니다. 체중 증가에 대한 수면의 영향은 호르몬 및 운동 동기 부여를 포함한 수많은 건강 요인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중을 줄이려면 반드시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2020.05.27 -
사랑은 우리 뇌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사랑은 분명 마음의 문제입니다. 그러나 사랑의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주요 기관은 뇌입니다. 과학에 따르면 사랑은 뇌에 어떤 영향을 주고 우리의 몸과 마음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사랑은 아직까지도 많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가 사랑에 빠지는 이유, 사랑을 유지하는 이유, 사랑에 식는 이유들은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은 이 부분에 대한 사실을 밝혀내기 위해 수십 년 동안 노력해왔습니다. 2000년 Semir Zeki, Andreas Beartels 두 사람은 런던대학 연구팀을 통해 관련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21~37세의 17명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이들은 누군가와 정말 깊이 사랑에 빠진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랑에 빠진 상태에서 뇌 스캔을 실시했는..
2020.05.07 -
도파민 수치를 자연스럽게 높이는 방법들
도파민은 뇌 기능에 중요한 화학 메신저입니다. 도파민은 보상, 동기 부여, 기억, 주의력 심지어는 몸의 움직임 조절에도 관여합니다. 도파민이 다량으로 방출되면 즐거움과 보상이 생겨 특정 행동을 반복하게 되고 반대로 도파민 수준이 낮아지면 동기 부여와 열정이 감소할 수 있다고 합니다. 1. 벨벳콩 Mucuna pruriens라고 알려진 벨벳콩에는 자연적으로 도파민의 전구체 분자인 L-도파가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콩을 많이 먹으면 도파민 수치가 자연적으로 높아질 수 있는데 도파민 수치가 낮아서 활동에 문제가 있는 파킨슨병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250g의 벨벳콩을 섭취하면 도파민 수치가 유의미하게 높아지고 섭취 후 1..
2020.04.25 -
알아두면 좋은 6가지 정신질환의 징후들
정신과 진단은 전문가가 하기에도 굉장히 까다로운 부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주요 우울증, 양극성 장애, 산후 우울증과 같은 다양한 정신질환들은 종종 겹치는 징후들을 보일 수 있으며 증상들도 종종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Charles Nemeroff 박사는 환자가 딱 한 가지의 정신질환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불안장애와 우울증이 중복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것처럼 대부분은 여러 가지 정신질환이 동시에 발현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신질환은 가족 중에 비슷한 증상을 경험한 사례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고 하나 이상의 정신질환 징후가 발현됐을 때 그 증상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충분히 경험이 있는 전문가와 상담을 ..
2020.04.06 -
저탄수화물 식단이 뇌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뇌의 노화 속도가 식단을 바꾸게 되면 훨씬 느려질 수 있다고 합니다. 인간의 뇌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신체 에너지의 20% 이상을 필요로 하는 데 포도당이나 케톤체를 대사함으로써 이를 얻게 됩니다. 뇌 기능의 저하는 뇌 세포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실제로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종종 뇌의 포도당 대사율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며 이것이 질병의 중증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알츠하이머병은 가장 흔한 형태의 치매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명이 치매를 앓고 있으며 이들 중 약 60~70%가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뇌 기능 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인 뇌 세포가 포도당 대사를 ..
2020.03.21 -
자기애가 강한 사람은 정신건강이 더 좋다
퀸스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자기애가 강한 사람은 ‘정신적으로 힘들다’고 하는 스트레스를 덜 받거나 우울증에 덜 취약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자기애가 높은 나르시시즘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성격 특성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이번 연구팀은 이것이 정신건강에 유익할 수 있다는 걸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700명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한 3개의 독립적인 연구를 포함하여 자기애주의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은 자기애가 정신적인 강인성을 증가시키며 이것이 우울증의 증상을 상쇄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나르시시즘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스트레스 수준이 낮기 때문에 스트레스로 인한 부작용들을 경험할 가능성도 적었다고 합니다. Papageorgioi 박사는 나르시시즘이 자신감과..
2020.02.29 -
우울증은 일주일에 150분 운동으로 해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150분 동안 운동을 하게 되면 불안증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실내보다는 야외에서 운동하는 것이 더 좋은 효과를 보일 수 있으며 여러 사람 혹은 혼자서 운동하더라도 좋은 효과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운동을 많이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적당하게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는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대학과 독일 학부르크 MSH 의과대학의 연구원들이 스포츠가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것입니다. 682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비슷한 양의 운동과 강도를 다양한 조건에서 진행하며 불안증과 우울증을 평가했습니다. 연구원들은 실내 환경과..
202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