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이 차가울 때 어떻게 해야 할까?

2022. 12. 29. 16:26■ 건강/건강보고서

반응형

Source : penn medicine


손발이 차가운 걸 걱정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 젊고 건강한 사람들에게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수족냉증은 말초동맥질환을 포함하야 다른 심각한 문제를 알릴 수 있다는 증거로도 볼 수 있지만 대부분은 심부 온도를 유지하고 주요 장기를 보호하기 위해 나타나는 건강한 수축 반응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추운 날씨에 노출될 경우 손, 발, 귀, 코가 가장 먼저 차가워지게 됩니다.

또한 차가워지는 온도 뿐만 아니라 색상의 변화도 일으킵니다. 차가워진 손과 발은 흰색으로 변하고 더 심해지면 파란색 또는 보라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만약 피부가 따뜻해지면 다시 빨간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다른 질환의 징후
손발이 차가워지는 건 무해한 질환이지만 류마티스 또는 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피부가 팽팽해지고 두꺼워지며 손발톱의 손상, 궤양 등의 변화가 나타나며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피부가 빠르게 냉각될 경우 동상을 입거나 신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차갑고 축축한 환경에 노출되면 발생하게 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피부가 적청색으로 변하고 물집이나 궤양이 형성됩니다. 

손발이 차가운 것과 동상의 차이점
손발이 차가운 것과 동상은 조금 다릅니다. 손발이 차가운 증상은 더 흔하고 더 쉽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동상에 걸리게 되면 심각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손발이 차가운 건 피부가 따끔거리고 무감각해지는 정도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피부는 빨간색에서 파란색, 흰색 또는 자주색으로 변할 수 있고 관절 또는 근육 경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손발이 차가운 건 일반적으로 피부가 단단해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동상이 생기면 통증이 며칠동안 유지되고 물집이 생기게 됩니다.

손발이 차가울 때 최고의 가정요법은 무엇일까요?
감기 예방을 위한 최고의 가정요법은 겨울 온도에 노출될 때 적절한 옷을 입는 것입니다. 옷이나 신발은 피부에 습기가 닿지 않도록 방수처리가 되어 있어야 하며 차가운 바람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분의 옷이나 담요를 덮고 자면 심부 체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양말을 신으면 발이 따뜻해지고 발의 혈류가 개선되어 심장, 폐, 근육이 최상의 효율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밤에 양말을 신으면 잠에서 깨는 횟수를 줄이면서 더 빨리 잘 수 있다고 합니다. 잠자는 동안 양말을 신는 것의 유일한 단점은 무좀과 같은 질병이 생기는 것과 같은 위생문제라고 합니다.

손의 경우 일반 장갑보다 벙어리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따뜻합니다. 그리고 장갑 안에 핫팩을 넣어서 사용한다면 아주 추운 환경에서도 손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옷과 장갑, 신발 등을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것은 특히 눈 속에서 장시간 활동하면서 옷이나 장갑이 눈에 젖는 어린이에게 좋습니다. 동상에 걸리지 않으려면 수분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고 가능한 젖은 옷은 빨리 갈아입는 것이 좋습니다.

추운 날씨에 노출될 경우 적절한 음식 섭취와 함께 신체활동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뜨거운 음료를 자주 마셔서 체온을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체온증이나 동상이 우려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체온증, 동상이 우려되는 경우 가까운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저체온이나 동상은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질환이기 때문에 만약 추위에 장시간 노출되었고 특정 신체부위가 통증이 느껴진다면 병원에 가보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만약 집에서 동상이 의심되는 경우 샤워기나 싱크대에 따뜻하게 몸을 녹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코와 귀는 따뜻한 수건으로 서서히 녹여야만 합니다. 동상이 나타나는 부위는 따뜻한 물을 자주 교체해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줍니다. 보통 30~45분 정도 소요됩니다. 만약 발열패드, 전기장판과 같은 보온기구를 사용하거나 흐르는 미지근한 물에 환부를 담그게 될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상이 걸린 부위가 서서히 해동되고 다시 분홍색을 띠면 어느 정도 성공한 것입니다. 이는 혈류가 개선되었음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아스피린이나 이부프로펜을 사용한다면 손상된 조직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물질로 인해 해당 부위가 더 이상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결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는 위험으로부터 스스로 몸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성인보다 더 쉽게 저체온증이나 동상에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옷이 젖지 않도록 관리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너무 장시간 차가운 온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중간중간 휴식을 취하면서 몸을 녹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피부색이 변하거나 통증이 지속될 경우 반드시 전문가를 통해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