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0. 18. 02:00ㆍ■ 건강/다이어트와 운동
(Source : Monterey Bay Parent)
영양실조는 영양소를 너무 적게 섭취해서 부작용이 생기거나 몸에서 영양소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영양이 저하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양실조가 나타나게 될 경우 심장병, 당뇨병, 성장 장애 등과 같은 심각한 건강 문제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을 위해서는 영양실조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습니다. 영양실조는 전 세계 인구 수십 억명에게 영향을 주고 있으며 많은 선진국들은 영양실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양실조는 다양한 종류의 영양소 결핍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단백질이나 칼로리와 같은 영양소 섭취가 부족하게 되면서 저체중, 성장 장애 등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설령 비만이더라도 특정 영양소가 결핍될 경우에도 영양실조라고도 볼 수도 있습니다.
영양실조가 나타나게 되면 일반적으로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이 있습니다. 우선 체중이 줄어들기 시작하고 근육과 지방이 감소하며 눈 주변이나 관자놀이에 살이 빠지게 됩니다. 그리고 피부나 머리카락이 건조해지고 피로감이 심해지며 우울증이나 불안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단독으로 나타나지는 않고 여러 가지 증상이 한꺼번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살이 빠지면서 어딘가 아파보이는 것처럼 안색이 창백해질 수도 있습니다.
영양실조가 나타나면서 결핍될 수 있는 영양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타민A : 안구건조증, 야맹증
아연 : 탈모, 상처 치유가 안 됨, 성장 장애, 식욕 부진
철분 : 빈혈, 위장장애, 체온조절 문제, 뇌 기능 장애
요오드 : 갑상선호르몬 기능 저하, 성장 장애
물론 이 외에도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결핍될 수 있으며 사망 위험도 높일 수 있는 만큼 충분히 영양소를 보충해주는 것이 중요할 거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 연구에 따르면 과체중인 사람이더라도 비타민A, 비타민E 혈중 농도가 낮게 나오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지방과 칼로리를 과도하게 섭취하면서 다른 영양소가 흡수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영양실조가 장기적으로 만성화될 경우 건강에 큰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영양실조가 있는 청소년들은 고혈압이 생길 확률이 높은 편이며 성장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유아기 때도 영양이 부족할 경우 만성적인 질병이 생길 위험이 크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신진대사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과체중인 경우에도 특정 영양소가 결핍될 수 있고 제2형 당뇨병의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영양실조의 원인은 주로 가난한 나라에서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식량 공급이 불안정한 나라일수록 영양실조가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평소에 충분한 식사를 하는 사람에게서도 영양실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크론병이나 장내 세균총에 문제가 있는 경우, 알콜 섭취가 너무 과도할 경우 영양실조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음식물을 섭취하더라도 제대로 영양소를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영양실조가 나타났을 때는 우선 어떠한 영양소가 가장 부족한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고 철분, 아연, 요오드 등을 위주로 충분히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영양소 보충과 함께 충분히 운동을 해주는 것이 과체중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영양소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할 경우 유산균을 충분히 섭취해줌으로써 장내 균형을 정상화시키거나 소화효소를 섭취해서 음식물을 잘 분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 관련 포스팅 링크 :
'■ 건강 > 다이어트와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제도 다이어트 보조제 효과가 있을까? (0) | 2018.10.21 |
---|---|
HCG다이어트 효과는 존재하지 않는다 (0) | 2018.10.20 |
식물성 단백질의 운동과 다이어트 효과는? (0) | 2018.10.14 |
L-카르니틴 효능 지방분해에 매우 효과적 (0) | 2018.10.10 |
야식 증후군 원인과 피하는 방법은? (2) | 2018.10.01 |